미국 교회 교인들이 한국 교회에 대해서 알고 싶어한다.
한국 문화와 미국 문화의 차이에 대해서 궁금해하는데, 교회에서 이야기할 것이기 때문에 우선 교회의 차이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특별히 미국 교회에는 없는데 한국교회에는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았다.
미국의 선교로 한국에 복음이 전해지고 교회가 세워졌기 때문에 사실 한국 교회는 미국 교회와 비슷한 점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개신교를 통해 복음이 전해지면서 학교와 병원 선교가 중점을 이루게 되었다. 한국의 세브란스 병원과 연세대, 이화여대 등의 감리교에서 세운 것이다.
미국에서 한국에 복음을 전했지만 복음이 한국에서 새롭게 해석된 것이 있다. 그것을 토착화라고 할 수 있는데 간단하게 몇 가지만 생각해보고자 한다.
In fact, the Korean church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American church because the gospel was preached to Korea and the church was established through the mission of the United States. Nevertheless, as the gospel was spread through Protestantism in Korea, missions in schools and hospitals became the focus. It was built by Severance Hospital in Korea and Methodist schools such as Yonsei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Although the gospel was preached to Korea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some new interpretations of the gospel in Korea. It can be called inculturation, and I would like to briefly consider a few things.
The first use of the word indigenization recorded by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is in a 1951 paper about studies conducted in India about Christian missionaries. The word was us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making churches indigenous in southern India.
한국 교회에만 있는 것
Something that only exists in the Korean church
1. 예배
주일 오후 혹은 저녁예배, 새벽 기도회, 수요 예배, 금요 철야 기도회,
부흥회(1년에 한두번)
1. Worship Service
Sunday afternoon or evening worship, ㄸEarly morning prayer meeting,
Wednesday worship,
Friday all-night prayer,
Revival Worship Service (once or twice)
Barley Harvest Thanksgiving Sunday
Thanksgiving Sunday
Christmas Day (American churches usually only worship on Christmas Eve)
New Year's Worship
2. 기도
주일 예배 대표기도, 통성기도
2. Prayer
Sunday worship service representative prayer, TongSung Prayer
3. 성도의 호칭
집사, 권사, 장로
3. Titles of saints
deacon, elder
한국 교회에서 토착화 된 것들은 성미, 새벽기도회, 금요철야가 있겠죠.
한국 교회는 기도나 설교중에 "아멘" 이라고 응답합니다.
* 미국 교회는 제가 다니는 미국감리교회를 중심으로 비교했습니다.
The things that have become indigenous to the Korean church must be the Holy Rice,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and the Friday All-night service.
Most of the Korean church congregation responds with "Amen" during prayers and sermons.
* American churches were compared with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I experienced.
복음 수용과 선교사 내한
1883년 9월 미감리회 볼티모어 연회 소속인 가우처(John F. Goucher) 목사는 신사유람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 중이던 민영익을 만난 후 한국 선교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가우처 목사는 미감리회 국외선교부에 한국 선교 착수를 촉구하였고 일본 주재 미감리회 선교사 매클레이(Robert S. Maclay) 로 하여금 한국 선교 가능성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중국과 일본에서 감리회선교를 개척했던 매클레이는 1884년 6월 24일 내한해서 ‘학교와 병원 사업을 해도 좋다’는 한국의 왕, 고종의 윤허를 받았다.
이에 미감리회 국외선교부는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 부부와 스크랜턴(William B. Scranton) 부부, 국외여선교부는 스크랜턴 대부인(Mary F. Scranton)을 초대하여 한국 선교사로 임명하였고, 이들 중 아펜젤러 부부가 제일 먼저 1885년 4월 5일 부활주일에 내한하였다.
In September 1883, Rev. John F. Goucher, who belonged to the Baltimore Conference of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became deeply interested in Korean missions after meeting Min Young-ik, who was visiting the United States with a tour of Shinsa.
Pastor Goucher urged the American Methodist Foreign Missions Department to start a Korean missionary work, and had American Methodist missionary Robert S. Maclay in Japan explore the possibility of missionary work in Korea. Maclay, who pioneered Methodist missionary work in China and Japan, came to Korea on June 24, 1884, and received the permission of King Gojong, the Korean king, saying, “It is okay to run schools and hospitals.”
Accordingly, the United Methodist Office of Foreign Missions invited Henry G. Appenzeller and William B. Scranton, and the Overseas Women’s Ministry invited Mary F. Scranton and appointed them as missionaries to Korea. Among them, the Appenzellers First, he visited Korea on Easter Sunday, April 5, 1885.
미감리회의 선교는 교육과 의료, 문서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배재학당과 이화학당은 한국 근대 교육의 요람이 되어 많은 지도자들을 배출하였으며, 시병원과 보구여관은 한국 근대 의료사업의 요람이 되었다. 감리회 출판사에서 펴낸 성서와 서적은 복음 전도에 유효한 도구가 되었고 한글문화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The mission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began with education, health care, and literature. Pai Chai Hakdang and Ewha Hakdang became the cradles of Korean modern education and produced many leaders, while city hospitals and Bogu Inns became the cradles of Korea's modern medical business. The Bibles and books published by the Methodist Press became effective tools for evangelism and promoted the development of Hangeul culture.
부흥운동과 토착 신학
1903년 원산에서 남감리회 선교사 하디(Robert A. Hardie)의 회개로 시작된 부흥운동은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을 거쳐 1909년 백만명구령운동으로 연결되었다. 한국인들은 이 부흥운동을 통해 회개와 중생과 성결을 체험하였고, 기독교적 가치와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신앙체험을 바탕으로 복음을 주체적으로 해석하려는 토착 신학이 감리교 신학자들에 의해 수립되었다.
Revivalism and Indigenous Theology
The revival movement that started in Wonsan in 1903 with the repentance of Southern Methodist missionary Robert A. Hardie went through the great revival movement in Pyongyang in 1907 and then into the 1 million rescue movement in 1909. Koreans experienced repentance, regeneration, and holiness through this revival movement, and formed a new community based on Christian values and ethical consciousness. Indigenous theology was established by Methodist theologians to independently interpret the gospel based on this experience of faith.
일제의 침략과 지배에 저항하는 감리교인들의 민족운동은 구국기도회로 시작하여 다양한 항일 투쟁으로 발전하였다.
3·1운동 당시 교회는 만세운동의 구심점이 되었고 그로 인한 희생도 컸다.
수원지방의 제암리와 수촌리, 화수리를 비롯하여 많은 교회당이 일본군의 방화로 불탔고 교인들이 희생되었으며, 이화학당 학생 유관순과 평양 남산현교회 부목사 박석훈 등이 옥중 순국하였다.
3·1운동 이후에도 감리교인들은 상해 임시정부와 독립운동단체, 애국부인회 등 민족운동 단체에 적극 참여하였고, 농촌계몽운동, 절제운동 같은 민족주의적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The national movement of Methodists who resisted Japanese aggression and domination began as a prayer for national salvation and developed into various anti-Japanese struggles.
At the tim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church became the center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sacrifice was great.
Many churches, including Jeam-ri, Suchon-ri, and Hwasu-ri in Suwon Province, were burned by the fire by the Japanese army, and church members were sacrificed.
Even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Methodists actively participated in national movement groups such as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and the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and developed nationalist social movements such as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temperance movement.
댓글 없음:
댓글 쓰기